카테고리 없음

향후 30년 글로벌 트렌드 3 Global Strategic Trends 2055

진정성을 가지고 2025. 8. 26. 08:47
반응형
향후 30년 글로벌 트렌드 3
Global Strategic Trends 2055
지역/주제별 영역에 대한 심층 분석과 DCDC의 글로벌 전략/예측 실무자 네트워크 참여로 영향 및 불확실성을 평가했다. 포괄적인 글로벌 분석에 앞서 일련의 의문점들이 거론되었다.
■ 기술 연구/개발 속도
기술발전이 급속하고 이에 적응하기에 급급하다. ● 무어의 법칙1이 미래에도 관련성이 있을까? ●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가 얼마만큼이나 모호해질까? 그 외에 ● 사람, 사회, 국가는 개발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 인간의 사고방식과 행동이 반응에 따라 근본적으로 변화할 것인가?.
■ 기후 환경과 영향
최근 20년 기후 변화 영향에 적응/완화해야 할 필요성이 널리 대두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에너지 전환 정책이 시행되어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은 있지만 궁금한 점이 많다. ● 국가의 경제적 번영과 사회적 안정 욕구와 기후 위기 해결 필요성을 어떻게 균형 있게 조절할 것인가? ● 2055년까지 전체 에너지 믹스의 점유율은 어떻게 될까? ● 국가/기업 행위자가 경쟁하는 주요 천연자원은 무엇일까? 그리고 ● 글로벌/지역 무역 역학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경쟁이 증가하고 국제 무역이 둔화되어 세계 경제의 상당한 탈세계화와 분리가 있을까? ● 다양한 문제에 대한 압박 하에서 기후 위기가 확대될 것인가? ● 정부가 저탄소 경제 전환을 기회로 받아들일까?
■ 글로벌 지배구조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 풍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더 크다. ● 강대국 간의 경쟁이 국제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로 인해 사건의 진로를 바꿀 것인가? ● 글로벌 강대국 간의 경쟁이 중견 강대국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면서 지역 갈등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을까? ● 중국이 미국을 앞지르는 세계적 강대국으로 부상할까? ● 미국의 미래 세계적 영향력은 무엇일까? ● 러시아의 정치적 진화는 어떨까? ● 유엔과 같은 다자간 기관의 운명은 어떨까? 그리고 ● 국가 간의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근본적 요인은 무엇일까? ● 국가/정부에 대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서방 국가의 경우 거버넌스 형태로서의 민주주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