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낮선 거리의 임자 없는 시체가 되지 마라

진정성을 가지고 2023. 1. 4. 14:54
반응형

 

  덕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다. 또는 이웃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잘 알려져 있는 글이고 별로 어렵지 않은 글입니다. 백범일지에는 백범 선생이 상서의 한 구절인 상호불여신호 신호불여심호에 관한 이야기는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이 글의 뜻은 얼굴 좋은 것이 몸에 좋은것만 못하고 몸 좋은 것이 마음 좋은 것만 못하다는 것으로 미모 보다는 건강이 더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백범 자신이 스스로를 미남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가 보다고 이 글을 해석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실 건강은 실생활에 있어서 미모보다 훨씬 더 중요합니다. 더구나 백범처럼 퐁찬 노숙 하지 않을 수 없었던 독립운동가 로서는 더욱 그러하였으리라 짐작됩니다. 정작 백범은 얼굴 좋은 사람보다는 마음 좋은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결심하고 있습니다. 밖을 가꾸는 외적 수양에는 무관심하고 마음을 닦는 내적 수양에 힘써서 사람구실을 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습니다. 신체가 건강한 것 보다는 마음 좋은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지요. 루쉰이 의사되기를 포기하고 문학으로 진로를 바꾼 이유가 그렇습니다. 일본유학 시절에 루쉰은 건장한 중국 청년이 러시아의 첩자란 혐의를 받고 일본인들에게 뭇매를 맞는 광경을 목격하게 됩니다. 러일전쟁 당시의 일 이었습니다. 건장하지만 우매한 중국 청년의 모습에서 엄청난 충격을 받고 의사의 길을 포기하였지요. 우매한 대중의 각성이 더욱 시급한 중국의 과제라고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그리고 그의 삶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무쇠 방에 갇혀 죽어가면서도 그것을 모르고 있는 중국인의 각성을 위하여 치열한 일생을 살아갑니다.

 

  루쉰의 경우는 심의 의미를 각성과 의식의 의미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만 심호를 각성이나 의;식의 의미로 읽지 않고 마음씨 또는 인간성의 의미로 읽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건강보다는 마음씨가 더 중요하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미모의 기준을 외적인 형식미에 둘 경우 사흘이 안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변화 그 자체에 몰두하는 오늘의 상품 미학에서 형식미는 더욱 덧없는 것이지요. 백범을 넘어서 그리고 루쉰을 넘어서서 이 마음의 문제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마음 좋다는 것은 마음이 착하다는 뜻입니다. 착하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배려할줄 안다는 뜻입니다. 배려한다는 것은 그 사람과 자기가 맺고 있는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착하다는 것은 이처럼 관계에 대한 배려를 감성적 차원에서 완성해 놓고 있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머리로 이해하거나 좌우명으로 걸어놓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가슴속에 자리 잡고 있으며 무의식 속에 녹아들어 있는 그러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신호불여심호 에 대한 구절을 더 추가하고 싶습니다. 심호불 여덕호 가 그것입니다. 마음 좋은 것이 덕 좋은 것만 못하다는 뜻입니다. 덕의 의미는 논어의 이 구절에 나와있는 그대로입니다. 이웃입니다. 이웃이란 그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입니다. 심이 개인으로서의 인간성과 품성의 의미라면 덕은 사람과 사람이 맺는 관계에 무게를 두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마음이 좋으면 그 사람의 인간관계도 좋아지고 넓어지겠지요. 그리고 심호는 착하다는 뜻이고 착하다는 것은 자기가 맺고 있는 인간관계를 소중히 하라는 뜻이라고 했지요. 그러나 우리는 심과 덕을 일정하게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덕은 단연히 인간관계에 무게를 두는 사회적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덕은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게 마련이다. 이 구절은 사람의 삶이 어떠해야 하는 가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옛말에 쉰살까지 성실하게 살아온 사람은 노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그때까지 그가 맺어온 인간관계가 안전망이 되어 그의 노후를 책임진다는 것이지요. 이것은 삶의내요 자체를 인간적이고 덕성스럽게 영위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말하자면 복지문제를 삶의 문제로 포용해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령공편에 군자모도불모식 (君子謨道不謨食) 그리고 군자우도불우빈 (君子憂道不憂貧) 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군자는 도를 추구할 따름이며 결코 식이나 빈을 걱정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것은 청빈의 예찬이 아니라 이웃에 대한 이야기이며 나아가 사람과의 사업에 대한 이야기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변혁기의 수많은 실천가 들이 한결같이 경구로 삼았던 금언이 있습니다. 낮선 거리의 임자없는 시체가 되지 마라는 것이었어요. 운동론 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민중과의 접촉 국면을 확대 하는 것, 그 과정을 민주적으로 이끌어 가는 것 그리고 주민과의 정치 목적에 대한 합의를 모든 실천의 바탕으로 삼는 것, 이러한 것들이 모두 덕불고 필유린의 원리에 다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것은 인간관계로서의 덕이 사업 수행에 뛰어난 방법론으로서 검증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 자체가 삶이며 가치이기 때문에 귀중한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