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케팅의 신경과학 1
The Neuroscience of Marketing
수시로 새로운 제품이 선을 보이지만, 80%는 실패하고 뒷전으로 밀려난다. 소비자 결정의 95%는 잠재의식에서 대부분은 2초 이내에 이루어진다. 소비자를 더 잘아야 한다. 논리적이고 증거에 기반한 지식 추구와 체계적인 적용을 해도 쉽지 않다. 예전에 마케팅은 통찰력과 창의성에 관한 것이었다. 보편적인 니즈를 파악하려고 시장 조사를 했더. 사업적 성과 추구보다는 프로모션과 광고에 대해 더 많은 신경을 썼다. 광고가 인기를 얻으면 경영진은 좋아했지만, 어쨌든 상업적 결과에 대한 영향을 입증하거나 반증할 방법이 거의 없었다.
데이터 중심, 디지털 기반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마케팅은 사업 성공의 과학적 동력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증거에 기초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객관적인 측정과 데이터를 중시한다. 동시에 여전히 통찰력과 창의성이 필요하다. 솔직히 말해서, 과학적인 창의란, 미지의 것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도약을 위해 탐구/실험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마케팅 담당은 시장 구조론자, 데이터 과학자, 소비자 심리학자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즉, 과학, 창의성, 전략적 사고를 융합하여 사업상의 도전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데이터 분석 및 행동 과학을 기반으로 정교한 캠페인을 추진하고 개인 맞춤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아직도 최고 마케팅 임원 중 24%만이 신경과학을 활용한다고 답한다.
이런 사실에 대해 생각해 보자,
■ 잠재의식적 사고 처리는 의식적 사고 처리보다 20만 배 빠르다.
■ 소비자 의사결정의 95%는 잠재의식에서 이루어진다.
■ 일용 소비재(FMCG) 구매의 70%가 매장에서 이루어지며 통상 2.8초 만에 결정 난다.
■ 신제품 출시의 80%가 예상 매출 목표에 도달 못 한다.
다음 번 게시물에 3가지 활용 비결을 설명하도록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