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93

기록은 무서운 규제장치 입니다.

시경에 이어 서경의 한편을 읽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경은 2제 3왕의 주고 받은 언, 즉 말씀을 기록 한 것 입니다. 유가의 경전이 되 전에는 그냥 서 또는 상서라고 했습니다. 중국에는 고대부터 사관에 좌우 2사가 있었는데, 좌사는 왕의 언을 기록하고 우사는 왕의 행을 기록하였습니다. 이것이 각각 상서와 춘추가 되었다고 합니다. 천자의 언행을 기록하는 이러한 전통은 매우 오래된 것 입니다. 그리고 동양 문화의 특징 이기도 합니다. 사후의 지옥을 설정하는 것 보다 훨씬 더 구속력이 강한 규제 장치가 되고 있습니다. 죽백에 드리우다 라는 말은 청사에 길이 남는다는 뜻 입니다. 자손 대대로 그 아름다운 이름을 남기는 것은 대단한 영예가 아닐수 없습니다. 반대로 그 악명과 죄업이 기록으로 남는다는 것은 대단한..

카테고리 없음 2022.12.16

풀은 바람 속에서도 일어섭니다

민간에서 불려지는 노래를 수집하는 까닥은 이러한 진실의 창조에 목적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요. 민심을 읽고 민심을 다스려 나가기 위한 수단 으로서 채시관 들이 조직적으로 백성들의 노래를 수집한 것이 틀림없습니다. 공자도 그 나라의 노래를 들으면 그 나라의 정치를 알 수 있다고 했습니다. 악여정통 이라는 것 이지요. 음악과 정치는 서로 통한다는 것 입니다. 공자가 오늘의 서울에 와서 음악을 듣고 우리나라의 정치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할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모시 에서는 위정자는 이로서 백성을 풍화하고 백성은 위정자를 풍자 한다고 쓰여 있습니다. 초상지풍 초필언 "풀 위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는다"는 것 이지요. 민요의 수집과 시경의 편찬은 백성들을 바르게 인도한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

카테고리 없음 2022.12.12

사실이란 진실의 조각 그림입니다.

시 한편만 더 읽도록 하겠습니다. 이 시 역씨 국풍입니다. 시경을 사실성의 관점에서 읽다 보니까 국풍만 읽게 됩니다. 이 시가 수집된 위 나라는 순, 우가 도읍했던 땅으로 유명하지만 강국인 진, 진과 접하여 잦은 전쟁과 토목공사로 이산의 아픔을 많이 겪은곳 으로도 알려저 있습니다. 이 시는 징병되었거나 만리장성 축조에 강제 징용된 어느 젊은이가 가족을 그리워 하는 마음을 그리고 있습니다. 아마 당대에 가장 보편적인 이산의 아픔이었다고 짐작됩니다. 이산의 아픔은 산업사회와 도시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에도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보편적 정서 이기도 합니다. 고향을 떠난 삶이란 뿌리가 뽑힌 삶이지요. 사람도 한그루의 나무라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이 시의 정서는 3천년을 사이에 둔 아득한 옛날..

카테고리 없음 2022.12.12

거짓없는 생각이 시의 정신입니다.

시경에는 모두 305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그 절반이 넘는 양이 국풍입니다. 국풍은 각국의 채시관이 거리에서 목탁을 두드리며 백성들의 노래를 수집 한 것 입니다. 이처럼 백성의 노래를 수집하는 주 나라의 전통은 한 나라 이후에도 이어져 악부라는 관청에서 백성들의 시가를 수집하게 됩니다. 시경의 시는 약 3000여년 전의 세계 최고의 시 입니다. 은말 주초 인 기원전 12세기 말 부터 춘추 중엽인 기원전 6세기 까지 약 600년간의 시 와 기를 모아 기원전 6세기경에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경은 중국사상과 문화의 모태가 되고 있습니다. 시경은 제후국 간의 외교 언어로 소통 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공통언어가 성립되고, 나아가 중국의 문화적 통일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 되기도 합니다. ..

카테고리 없음 2022.12.11

상품미학의 허위의식으로 부터 삶의 진정성으로

이제까지는 동양사상의 특징에 대하여 이야기 한 샘 입니다. 특징을 이야기 하려고 한것은 아닙니다. 자칫하면 차이가 특징으로 잘목 이해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동야이란 개년 자체가 서양을 전제로 한 것 이지만 우리가 앞에서 장황하게 이야기한 것은 동,서양의 비교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고전의 독법에 관한 이야기 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동양사상의 특징에 대하여 이야기 했습니다. 그리고 서양사상과 비교하고 차이점을 지적한 것도 사실입니다. 근대사가 바로 서구중심의 자본주의 역사이기 때문에 동양사상의 관계론을 설명하면서 자연히 서구와의 비교 논의로 진행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제 시경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시경은 동양고전의 입문입니다. 그만큼 중요합니다. 우성 300여편이 넘는 시..

카테고리 없음 2022.12.07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곳

동양사상은 과거의 사상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사상입니다.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뒤어난 관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서론 부분에서 고전강독에 지나치면 의미부여를 하고있다는 갱각을 금치 못합니다. 모든 처음이 그렇듯이 각오가 지나쳐서 우리는 지금 너무나 엄청난 의미부여를 하고 있는것 이라고 반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친김에 하나만 더 합의하고 시작 하겠습니다. 고전강독의 목적이 무엇인가에 관한 것 입니다. 21세기를 시작 하면서 많은 미래 담론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미래에 대한 객관적 전망이 아니라, 자기의 입장에서 각자의 이해관계를 관철 시키기 위한 소망이 전망의 형식을 띠고 나타난 것 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래 담론은 대부분이 ..

카테고리 없음 2022.12.06

모순의 조화와 균형

서양 문명이 과학과 종교를 두개의 축으로 하는 구조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러나 서양 문명뿐만 아니라 모든 사상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모순 구조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상대립, 모순, 긴장, 갈등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 이기 때문입니다. 동양사상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동양적 구성 원리에는 과학과 종교간에 나타나는 그러한 모순이 없다고 했지만, 이것은 동양사상의 내부에 모순구조가 없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동양적 구성 원리에는 그러한 모순이 균형적 조화를 이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화와 균형에 대하여 대단히 높은 가치를 부여합니다. 중용이 그것입니다. 대립과 모순이 존재한다는 것과, 그것의 조화와 균형을 중시 한다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모순 대립의 두 측면이 적대적..

카테고리 없음 2022.12.05

인간은 인간관계입니다.

인반적으로 동야사상의 특징으로서 인간주의라고 하는경우 그것은 그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가 인문적 가치라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인성의 고양을 최고의 가치로 설정하고 있는 사회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성인이 되는것이 최고의 목표이고 모든 사람은 성인이 될 수 있는 것 으로 인간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외부에 어떤 초월적 가치를 상징하고 그 아래에 인간적 가치를 배치하는 그런 구도가 아닙니다. 최고의 가치가 바로 사람과 관련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 지점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것이 바로 인성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 입니다. 인간주의적 관점에서 규정하는 인성이란 한 개인이 맺고있는 여러 층위의 인간관계에 의하여 구성됩니다. 인성은 개인이 자기의 개체속에 쌓아놓은 어떤 능력, 즉 배타적으로 자..

카테고리 없음 2022.12.03

자연이 최고의 질서입니다.

동양에서는 자연이 최고의 질서입니다. 최고의 질서란 그것이 상위 질서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자연 이외의 어떠한 힘도 인정하지 않으며, 자연에 대하여 지시적 기능을 하는 어떠한 존재도 상정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자연이란 본디부터 있는 것 이며 어떠한 지시나 구속을 받지않는 스스로 그러한 것 입니다. 글자 그대로 자연이며 그런 점에서 최고의 질서입니다. 질서라는 의미는 이를테면 시스탬이라고 생각할수 있습니다만, 장 이라는 개념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장이란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라 자력장, 중력장, 전자장과 같이 그 자체로서 하나의 체계이며 질서입니다. 장은 그것을 구성하는 모든 것이 서로 조화 통일되어 있습니다. 모든것이 조화 통일됨 으로서 장이 되고 그래서 최고의 어떤 질서가 됩..

카테고리 없음 2022.12.02

삶을 존중하고 길은 소중히 하고

동양적 사고는 현실주의적 이라고 합니다. 현실주의적 이라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우리들의 삶이 여러가지 제약속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는 사실은 승인하는 태도라 할 수 있습니다. 저 혼자 마음대로 살아갈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삶이라 하는 것 입니다. 다른사람과의 관계를 고려하고 나아가 자연과의 관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단른 사람에게 모질게 해서는 안되며, 과거를 돌이켜 보고 미래를 내다 보아야 하는것이 우리의 삶 입니다. 우리들이 살아가는 일에 소용이 없는 것 이라면 의미가 없다는 뜻 이기도 합니다. 현실주의란 한마디로 살아가는 일의 소박한 진실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서구인들의 동양에 대한 인식을 원천적으로 결정하고 있는 막스베버에 대해 언급해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막스 베버는 동양 사회의 ..

카테고리 없음 2022.12.01
반응형